솔샘

돈 잘 버는 장사 운영 노하우 / 정재수

가랑비01 2009. 2. 15. 00:01

돈 잘 버는 장사 운영 노하우

                            정 재 수

 

 사람들의 생긴 모양은 다 달라도 사람들이 건강하게 사는 기본원리와 근본이치는 똑 같듯이 장사의 형태는 다 달라도 장사가 잘 되는 기본원리는 다 똑같다. 사람의 신체는 오장육부 서로 간에 궁합이 잘 맞고 균형과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튼튼하듯이 장사도 여러 가지 영업 부문들 간에 궁합이 잘 맞고 균형과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잘 될 수 있다.

 

 장사를 보다 더 효율적이고 보다 더 효과적으로 하려면 보다 더 좋은 영업전략이 필요하다. 장사를 잘 하려면 반드시 전체적인 영업 전략과 각 세부적인 영업전략을 잘 세워야 한다. 전략은 주어진 상황에 맞춰서 세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주어진 상황의 변화에 맞춰 영업전략을 상황에 따라 세워야 하고 기본적인 장사 조건들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변화하여야 한다.

 

 상품을 파는 일은 장사다. 상품을 구입하는 고객들이 가장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는 부분은 대개 상품이다. 여기서 상품은 일반적인 상품을 포함해서 그 매장의 존재 이유가 되는 서비스나 기술을 제공하거나 또는 시설을 제공하는 것 등을 말할 수 있다. 장사를 잘 되게 하려면 상품과 상권의 성격, 각 점포의 특성 조건, 주류 고객들 간에 궁합이 맞아야 한다. 상품을 다른 점포들보다 더 많이 팔려면 싸게 팔아야 한다. 싸게 팔면서 이윤이 남게 하려면 상품 원가를 줄여야 한다. 원가를 줄이는 방법은 상품 매입비, 상품 관리비를 줄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일이다.

 

 상품에 적합한 가격을 매기고 나면 그 상품을 팔기 위해 홍보를 해야 한다. 홍보는 돈을 들여서하는 광고의 의미를 포함해서 돈을 들이지 않고 대인관계 또는 조직관계 등을 통해서 소수 또는 다수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고 적극적으로 그리고 자세히 알리는 수단과 방법까지를 의미한다. 장사 규모가 적으면 적은 대로, 장사가 잘 안 되면 안 되는 대로. 업종이 뭣하면 뭣하는 대로, 그렇게 있는 그대로 떳떳하고 당당하게 자기 홍보를 하며 자기 일을 보다 더 열심히 그리고 보다 더 성실히 하게 되면 자기 일에 대한 자부심이 더욱더 강해지게 되고 그 자부심을 바탕으로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고객이 상품을 사고 안 사고는 고객의 마음에 달려 있다. 고객이 상품을 사게 하려면 고객의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하고 이를 여기서는 고객맞이라고 한다. 모든 고객들을 크고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또한 고객들을 진심으로 존중하는 마음으로 모셔야 한다. 그리고 고객들을 대하는 방법은 업종과 잘 맞아야 하고, 고객들 개개인의 스타일과도 잘 맞아야 하고, 고객들의 기분 상태와도 잘 맞아야 한다............ 

 

                                                            출처:돈 잘 버는 장사 노하우 / 정재수 / 태웅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