啓蒙篇
(地篇)
地之高處便爲山 地之低處便爲水. 水之小者謂川 水之大者謂江. 山之卑者謂丘 山之峻者謂岡.
땅의 높은 곳은 바로 산이 되고, 땅의 낮은 곳은 곧 물이 된다. 물이 적은 것을 내라고 부르고, 물이 많은 것을 강이라 일컫는다. 산이 낮은 것을 언덕(구릉)이라고 부르고, 산이 높고 험준한 것을 산등성(산)이라고 부른다.
天下之山 莫大於五岳 五岳者 泰山崇山衡山恒山華山也 天下之水 莫大於四海 四海者 東海西海南海北海也
하늘 아래 산 가운데 오악보다 큰 산이 없다. 오악이라는 것은 태산, 숭산, 형산, 항산, 화산을 일컫는다. 하늘 아래 물이 사해보다 큰 것이 없다. 사해는 동해, 서해, 남해, 북해를 일컫는다.
山海之氣 上與天氣 相交 則興雲霧 降雨雪 爲霜露 生風雷
산과 바다의 기운이 하늘의 기운과 더불어 함께 어울려 올라가서 서로 교류하면 곧 눈과 안개가 일어나고 비와 눈이 내리고 서리와 이슬이 되고 바람과 우레가 생긴다.
暑氣 蒸鬱 則油然而作雲 沛然而下雨 寒氣 陰凝 則露結而爲霜 雨凝而成雪 故春下多雨露 秋冬多霜雪 變化莫測者 風雷也
더운 기운이 푹푹쪄서 왕성하여 지면 곧 구름이 일어나듯이 피어 오르고 구름을 만든다. 더운 기운이 왕성하여 지면 비가 쏟아 지는 것처럼 되어서 비가 내린다. 찬 기운은 흐리게 그늘이 지면서 엉기면 곧 이슬이 맺혀서 서리가 되고 비가 엉켜서 눈이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봄과 여름에는 비와 이슬이 많고 가을과 겨울에는 서리와 눈이 많다.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것은 바람과 우레이다.
蒸 [찔증] 鬱 [답답할울] 油 [기름유] 沛 [비쏟아질패] 陰그늘 음
古之聖王 劃野分地 建邦設都 四海之內 其國 有萬而一國之中 各置州郡焉 州郡之中 各分鄕井焉 爲城郭 以禦寇 爲宮室 以處人 爲뢰耜 敎民耕가(禾+家) 爲釜甑 敎民火食 作舟車 以通道路
옛날의 성왕(聖王)께서는 들판에 금을 그어 땅을 나누어서 지방(나라)을 세우고 도읍을 설치하였다. 사해 안에 그 나라가 만 개의 지방이 있었고 하나의 나라(지방) 안에 각각 주, 군, 현을 설치하였다. 주, 군(州郡)가운데에 각각 향(鄕)과 정(井)을 두었다. 주군향정(州郡鄕井)은 외적을 방어하기 위하여 성곽이 만들어 졌다. 사람이 거처하기 위하여 궁실이 만들어졌다. 백성에게 농사를 짓는 법을 가르쳐 주기 위하여 쟁기와 보습이 만들어 졌다. 백성에게 불로 음식을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기 위하여 가마솥과 시루가 만들어 졌다. 사람들이 길을 자유로이 통행하게 하기 위하여 배와 수레가 만들어 졌다.
劃 [그을획]耜보습 사 耕 [밭갈경] '뢰'는 쟁기를 뜻하고 정(井)은 밭 이랑을 뜻한다.쟁기로 밭이랑을 만든다는데서 '밭을 갈다'는 뜻. 耘 [김맬운]
金木水火土 在天 爲五星 在地 爲五行 金以爲器 木以爲宮 穀生於土 取水火爲飮食 則凡人日用之物 無非五行之物也
금목화수토가 하늘에서는 다섯 별이 된다. 금목수화토가 땅에서는 오행이 된다. 금을 가지고 그릇이나 기구를 만들고, 나무를 가지고 집을 짓는다. 곡식은 흙에서 나오고 물과 햇빛을 취하여 음식이 된다. 그러므로 무릇 사람이 매일 사용하는 물건이 오행으로 이루어진 물건이 아닌 것이 없다.
五行 固有相生之道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復生水 五行之相生也 無窮而人用不竭焉
오행은 원래 서로 태어나게 도와주는 �은 도리이다. 물은 나무를 태어나게 도와주고 나무는 불을 태어나게 도와주고 불운 흙을 태어나게 도와주고 흙은 쇠를 자라게 도와주고, 쇠는 다시 물을 태어나게 도와준다. 오행의 상생하는 것은 끊임없이 계속되고 사람이 사용함에 다함이 없다.
五行亦有相克之理 水克火 火克金 金克木 木克土 土復克水 乃操其相克之權 能用其相生之物者 是人之功也
오행은 또한 서로를 이기는 이치가 있다. 물은 불을 이기고, 불은 쇠를 이기고, 쇠는 나무를 이기고, 나무는 흙을 이기고, 흙은 다시 물을 이긴다. 이에 오행이 서로를 이기는 권세를 잘 조절하고 다루어서 능히 오행이 서로 상생하는 만물을 잘 이용하는 것은 사람의 공덕이다.